본문 바로가기

자녀(2)

세바시 1559회 | 국왕된 자의 효도, 그 역사적 의미 | 김소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학예연구사 국왕 된 자의 효도, 그 역사적 의미 | 김소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학예연구사 | #부모 #자녀 #효도 | 세바시 1559회 정조가 백성에게 보여준 교육방법은?  우리가 흔히 조선 시대는 되게 아름다웠을 것이라 생각해요.오늘날 사회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자식을 버리고 부모를 때리거나 죽이는 사람이 상당히 많습니다.정조는 이런 사회를 살아가면서 절망하지만은 않았습니다.정조는 재위 기간 중에 능으로 가는 행차를 66번 합니다.백성들로부터 소원 수리하는 것이 3355건이에요.한 번 갈 때마다 450번씩 멈춰서 얘기를 듣는 겁니다.      안녕하십니까 교장 가게 하계사 김소라입니다. 제가 몸 담고 있는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은 18세기 정조가 직접 수립한 규장각의 자료와 정신 그리고 역할까지 고스란..
세바시 1167회 | 내 아이를 위한 훈육의 네 가지 원칙 | 신애라 배우 자녀의 단점이 눈에 보일 때, 여러분은 어떻게 훈육하시나요? 많은 부모가 자녀에게 훈육을 빙자해서 화를 내곤 합니다. 혹은 자녀와 관계를 망칠까 두려워 아예 말을 하지 못하기도 합니다. 자녀가 올바르게 자라기 위해선, 부모가 올바른 훈육을 해줘야 합니다. 자녀를 제대로 사랑하는 법, 진짜 훈육에 대해 여러분께 알려드립니다. 신애라 배우 | 가족 자녀 교육 부모  안녕하세요. 예 ~안녕하세요. 방갑습니다. 네 우리 '세바시'하면 관객과 소통하는 그런 프로그램이 잖아요.많은 분들과 함께 소통하는데, 아 ··· 지금 시국이 시국인지라 아 ···정말 이렇게 모이신 한 분, 한 분이 더 귀하고 감사하다는 그런 생각이 듭니다. 요즘 어떻게 지내세요?어떻게 나오셨어요? 집에 콕 안 하시고사실 집에 거의 계시죠~ 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