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에 일자리를 뺏기지 않을 방법은?
'앞으로 무슨 직업을 갖게 될까요?'
"대학 졸업 후 일할 직종이
입학 당시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쥘리앵 만개드 프랑스 기업인
'그럼 우리는 대학에서 뭘 배워야 하죠?'
인간을 위한 기술혁명 2부
인공지능을 이기는 교육
디지털 기술의 융합으로
폭발적인 변화를 불러오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인류가 누리게 될
기술 발전의 혜택과 동시에
현실로 다가온 위협
2030년 까지 자동화로 실직하는 인구
최대 8억 명
전 세계 근로자의 약 30%
- 맥킨지(2017.11.)
인공지능에
일자리를 뺏기지 않을 방법은?
기계에
일자리를 뺏기지 않을 방법은?
오래 전에도
비슷한 질문을 했던 사람들
당시 사람들이 찾은 해법
새로운 인재를 양성하라
산업사회의 가치에 적합한 새로운 인재란
단일화되고 표준화된 인재
그래서 도입된 19세기 학교의
선진화된 교육
주입식 교육
교사가 중심이 되어 지식을 전수하고 학생들이 정해진 답을 암기하는 교육
19세기에 만들어진 학교 교육은
20세기에는 꽤 잘 맞았습니다.
하지만 21세기에는 통하지 않죠.
-래리 라이퍼 스탠퍼드대 기계공학과 교수
인공지능에
일자리를 뺏기지 않을 방법은?
지식과 정보가 폭발하고
모든 영역에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21세기에도 찾을 수 있는 해법
새로운 인재를 양성하라
21세기형 인재가 갖춰야할 역량
창의성
비판적 사고 능력
협업능력
창의성
암기해야 할 고정불변의 지식이 아닌
더 높은 차원의 지식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
비판적 사고 능력
수많은 정보 속에서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
협업능력
세계화로 개방화되는 사회에서
상호 협동하고 공존할 수 있는 능력
21세기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새로운 교육법을 도입한
스탠퍼드 대학교
창의성을 키우기 위해
세상에 하나뿐인 종이로 만든 자전거를 만들고
비판적 사고 능력을 키우기 위해
종이 자전거가 얼마나 안정적으로 달릴 수 있을지 경험을 통해 배우고
협업 능력을 키우기 위해
학생들이 팀을 이뤄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
특정 주제애 대한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자기주도적인 학습법
전통적인 교육과 가장 큰 차이는
학생이 중심이 되고
교수는 조력자 역활
"시작부터 끝까지 스스로 해내다보면
생각지 못한 무언가를 만들어냅니다."
-크리스틴 시어스 스탠퍼드대학생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친구들과 협업함으로써
세상에 없는 새로운 것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걸 배웠어요."
-브래트 버거 스탠퍼드대학생
스탠퍼드대에서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도입한 것은
1993년
1990년대부터
21세기를 대비한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논의했던 미국
지금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초, 중, 고등학교까지 확산돼
미국 전역에서 시행 중이다
21세기에도 여전히 정해진 답을 찾는 교육
"한국 한생들은 하루 15시간 동안
미래에 필요하지 않을 지식과
존재하지도 않을 직업을 위해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
- 앨빈 토플러 미래학자
공동기획 4차산업혁명위원회
자문 래리 라이퍼 스탠퍼트 대학 기계공학과 교수
참고 : https://www.stanford.edu/
학교의 종말, 다시 '전인교육'의 시대가 온다 중앙일보 (2017.9.16.) [링크]
구성 조미진
조연출 김준규
연출 김동준
'YouTube > 지식채널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채널e] 가족 더하기 (1) | 2018.09.26 |
---|---|
[지식채널e] 지금도 수영을 좋아하세요? (0) | 2018.08.16 |
듣기 좋고 부르기 좋은 (0) | 2018.08.15 |
나는 어디에서 왔을까요? (7) | 2018.08.10 |
다음 사고 원인의 공통점은? (11) | 2018.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