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YouTube/세바시(636)

자막 세바시 93회 커피찌꺼기와 버섯의 썸씽? | 이현수 꼬마농부 대표 강연 소개 : [신년특집 My Start-up Life] 그 모든 시작은 커피 찌꺼기에서 시작됐습니다. 매일 아내가 커피를 마시고 남긴 커피 찌꺼기가 쌓여가는 걸 보면서 생각했습니다. 한 잔의 커피를 내리는 데는 커피 원두의 0.2% 밖에 사용되지 못하고, 99.8%는 그냥 버려집니다. 게다가 커피 찌꺼기는 그냥 매립되면 메탄가스가 발생하는 오염물질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버섯과 만나면 커피 찌꺼기는 자원이 됩니다. 영양분이 많아 버섯 성장에 좋고, 그렇게 사용된 후에는 퇴비로 재활용되는 완벽한 순환, 환경 쓰레기에서 자원으로 거듭난 커피와 버섯의 만남, 그 만남을 주선한 농부의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게시일: 2011. 12. 28. 안녕하세요 꼬마농부 대표 이현수라고 합니다 반갑습니다 아 이게 참 무거..
자막 세바시 92회 패션 한강을 따라 세계로 흐르다 | 윤자영 스타일쉐어 대표 강연 소개 : [신년특집 My Start-up Life] 공모전, 인턴십, 경쟁 과열로 다들 한 방향으로 뛰어가고 있을 때, "진정 나를 가슴 뛰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의 답을 찾아 7번의 배낭여행을 떠났습니다. 저는 여행 중에 불현듯 엉뚱한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세상 그 어느 강보다 한강이 훨씬 아름다우며, 뉴요커, 파리지앵 못지않게 가로수길을 활보하는 우리들도 '스타일리시'한데, 문제는 세계가 모른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전 세계에 서울의 패션을 알리고 싶었던 한 여대생은 '스타일쉐어'라는 패션SNS를 만들고, 세계를 무대로 매일 설레는 마음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 이야기를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습니다. 게시일: 2011. 12. 28. 사진과 머리가 확 달라졌죠? 저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자영입..
자막 세바시 91회 당신이 주인공입니다 | 정샘물 (정샘물 인스피레이션 대표) 강연자의 강연 소개 : [2011 트렌드 키워드, 셀러브리티 브랜드] 국제적인 경쟁력, 나의 브랜딩화는 남과 비교에서 얻어지는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나로부터 시작되며, 나에게 집중할 때 더욱 극대화됩니다. 내가 누구인지, 무엇을 잘 할 수 있는 지에 집중하고 끊임없이 나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몰입한다면 그 누구와도 비교할 수 없는 차별성이 발견되고 나의 우수한 경쟁력이 될 수 있습니다. 셀러브리티 브랜드 전략의 핵심에는 바로 여러분 자신이 있습니다. 게시일: 2011. 12. 27. 안녕하세요 정샘물입니다 반갑습니다 우와~ 감사합니다 제가 뷰티클래스에 관련된 강연은 굉장히 많이 다녔어요 그래서 여성 분들과의 그런 만남은 굉장히 많이 가졌는데 이러한 만남을 갖게 되서 이런 또 강의를 하게 되서 굉장히 설래..
자막 세바시 90회 안전한 밥상, 행복한 식생활 디자인 | 강안종 고문 강연 소개 : [2011 트렌드 키워드, 안심먹거리] 우리의 삶 속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면서도 동시에 가장 소홀하기 쉬운 '식생활'의 중요성과 '안전 먹거리'에 대한 재발견을 통해 현실적으로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방안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그러기 위해 소비자의 역할과 한계, 기업의 역할을 함께 생각해보면서 소비자 스스로도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식문화 재정립의 의지를 갖는 것 역시 중요함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게시일: 2011. 12. 26. 반갑습니다 강안종 입니다 뒤에있는 사진을 보면은 저와 모습이 좀 다르지요제가 한 달 전 전에 러시아에 출장을 갔었습니다 그때부터 이 모습이 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출장을 다녀와서 집에 들어오는 순간 우리 식구들부터 이런 반응을 제가 받았습니다 '아빠 왜 이..
세바시 89회 소비자가 바라는 세상 | 황희승 그루폰 코리아 대표 강연 소개 : [2011 트렌드 키워드, 소셜커머스] 일정 인원이 모이면 가격이 파격적으로 떨어지는 소셜커머스. 2011년 큰 화두로 떠오른 소셜커머스를 이야기합니다. 소셜커모스는 젊은층을 중심으로 급격하게 퍼졌고, 그들의 생활패턴마저 바꿔 놓았습니다. 홍보 기회가 없었던 중소상인들에게는 이름을 확실히 알리며 홍보할 수 있는 지속적인 마케팅 플랫폼을 제공 했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온라인상의 단순한 비즈니스 모델인 것 같지만, 지금, 그리고 다가올 시대의 소비패턴과 시장의 모습을 바꿔놓을 소셜커머스에 대해 여러분과 이야기해봅니다. 게시일: 2011. 12. 25. 안녕하세요 그루폰 코리아를 맞고 있는 황희승 입니다 제가 좀 젊은 나이에 이렇게 사업을 하다 보니까 이렇게 많은 대중들 앞에 서 본 경험이 많..
자막 세바시 88회 옛날 노래가 좋은 이유 : 쎄시봉 이야기 | 이상벽 방송인 강연 소개 : 복고가 올 한 해의 문화 키워드였습니다. 그 중심에 쎄시봉이 있습니다. 쎄시봉이란 서울 무교동에 있었던 음악감상실이었고, 이곳에서 활동하던 당시 가수들을 이르는 통칭입니다. 조영남, 윤형주, 송창식, 김세환 등이 주요한 구성원들이었는데요, 지금 방송인으로서가 아닌 쎄시봉 당시 연예부 기자로서 제가 쎄시봉의 이야기와 오늘 다시 이들이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는 이유를 여러분들에게 전하려고 합니다. 게시일: 2011. 12. 21. 네 여러분 반갑습니다올 일 년은 그야말로 대중가요가우린 어차피 텔레비젼 매체를 통해서노래를 들을 수밖에는 없는 그런 세상을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그 변화가 바로 가요계의 변화라고 보여지면 틀림없을 것 같습니다가장 큰 변화의 핵이었던 것이이른바 세시봉 붐이 아니였나 ..
샤넬, 유니클로 패션의 두가지 얼굴 | 김홍기 패션큐레이터 | 세바시 87회 강연 소개 : 럭셔리 브랜드 샤넬과 매스티지 브랜드 유니클로, 현대의 패션시장을 구성하는 두 개의 큰축을 통해 패션에 대한 소비자의 정신적 태도와 입장을 살펴봅니다. 프렌치 시크의 시원에서부터 명품에 끌리는이유, 또 다른 한쪽에선 단순함과 기능성으로 어필하는 SPA 문화가 기존의 패션계를 뒤집고 있는 이유등. 두 브랜드의 양면적 가치가 함께 공존하는 사회에서 우리는 어떤 옷을 선택해야할까에 대해 말해봅니다. 게시일: 2011. 12. 20. 안녕하십니까. 패션큐레이터 김홍기입니다저는 패션큐레이터입니다뭘 하는 직업이냐면 패션을 미술관에서 전시하는 일을 합니다근데 사람들이 이런걸 잘 모르구요혹시 '올해 유행색이 뭐에요?' '어떤 스타일이 유행이에요?' 이런 걸 묻습니다보시다시피 옷을 잘 못입어요(ㅎㅎ)오늘은..
자막 세바시 86회 환경의 역습, 패션을 바꾸다 | 조수빈 LG패션 팀장 강연 소개 : [2011 트렌드 키워드, 이상한 날씨와 패션]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가장 발 빠르게 변화하며 시대의 트렌드를 반영하는 패션 산업에서 근래 가장 중요한 키워드가 '자연,환경,기후'로부터 나오고 있습니다. 글로벌한 환경적 이슈들은 이미 국내에서도 일상화되었고,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패션은 환경의 역습에 그 어느 때보다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 변화의 사례와 다가올 미래의 의류생활의 변화를 함께 살펴봅니다. 게시일: 2011. 12. 19. 안녕하세요 조수빈 입니다정말 환호 해 주시네요 먼저 오늘 강연에 앞서서 지금 보시는 시간은 시계입니다 세계 시간은 9시 1분 이구요 한국 시간은 9시 59분을 가르키고 있어요 과연 어떤 시간을 의미할까요?내 이 시계는 [환경위기시계]입니..
세바시 85회 키워드는 M, 모빌리티 | 곽동수 한국사이버대 교수 강연 소개 : [2011 트렌드 키워드, 모빌리티(Mobility)] 유목민의 시대로 디지털 노마드가 탄생한다는 2011년도 막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주목해야할 키워드는 M, 모빌리티입니다. 그저 기술적인 입장에서 모바일이 중요한 게 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적인 의미의 모바일은 세상을 완전히 바꿔 놓을 것입니다. 영국의 스파이 007에게 국장 M이 명령을 주었다면, 이제 당신이 M에게 명령을 내릴 차례입니다. 게시일: 2011. 12. 18.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뭐 기분 안 좋은 일 있으신건 아니죠? 더 멋진 강사를 기대했다 제가 나와서 실망하신 분 계실까봐 자랑부터 시작하렵니다 저는 굉장히 많은 활동을 하고 다녔습니다만 올해 내내 제가 하고 다녔던 자랑은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에서 제..
자막 세바시 84회 | 성인식 없는 사회에서 어른으로 산다는 것 | 김학철 교수 강연 소개 : 오늘날 한국 사회는 '거대한 유치원'이 된 것 같습니다. 이 유치원에는 나이로는 어른이 되었어도 부모의 품을 떠나지 못하는 '캥거루' 어른아이와 다 자란 자식들 위를 맴맴 도는 '헬리콥터' 부모들이 있습니다. 이 강의는 어처구니없는 희극과 대책 없는 이기심이 가득찬 유치원 사회에서 어른으로 산다는 것의 의미를 여러 종교의 성인식을 통해 제시해 봅니다. 게시일: 2011. 12. 1. 안녕하십니까 연세대에서 가르치는 김학철이라고 합니다저는 오늘 여러분과 함께성인식 없는 사회에서 어른으로 산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어른이 된다는 건 무슨 뜻인지 같이 한 번 생각을 해보려고 합니다 벌써 몇 년 전 일인데요 제가 연구실에 앉아있었습니다전화가 한 통 왔어요 전화를 받으니까'김학철 교수님이신가요?' 이..